대출용어 알아보기 DTI, DSR
대출 DTI(총부채상환비율), DSR(총부채원리금생환비율)
대출 DTI(총부채상환비율)금융부책 상환능력을 소득으로 따져서 대출한도를 정하는 계산비율을 말합니다. 대출상환액이 소득의 일정 비율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실시합니다. 총부채상환비율, 즉 총소득에서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며 금융기관들 대출금액을 산정할때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개인신용평가시스템(CSS:Credit Scoring System)과 비슷한 개념입니다. 예를 들면, 연간 소득이 5,000만원이고 DTI를 40%로 설정할 경우에 총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2,000만 원을 초과하지 않도록 대출규모를 제한하는 것입니다.
DTI 계산 방법
DTI - 월간 총부채상환액/월 총소득*100
(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+기타 대출 이자) 상환액/연간소득
DSR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
DSR - (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+ 기타 대출 원리금 상환액)/연간소득
소득대비 주택담보대출원리금에 신용대출 등 다른 대출의 이자를 더한 금융부채로 대출한도를 계산하는 반면 DSR은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뿐만 아니라 신용대출, 자동차 할부, 학자금 대출, 카드론등 모든 대출 상환능력을 심사하기 때문에 더 엄격하다. DSR을 도입하면 연소득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금융부채가 커지기 때문에 대출 한도가 대폭 축소됩니다.
댓글
댓글 쓰기